Clicky
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점유율 100%’ 드라이아이스 제조사들, 한 회사처럼 가격 맞췄다

등록 2023-11-19 13:29수정 2023-11-20 02:33

점유율 유지 위해 서로 구매…사실상 ‘한 회사’
공정위, 시정명령 및 과징금 48억6천만원 부과
드라이아이스를 제조·판매하는 6개 회사는 2007년 5월∼2019년 6월 아이스크림 제조사인 롯데제과, 롯데푸드, 빙그레, 해태제과식품 등을 대상으로 납품가격을 담합했다가 적발됐다. 연합뉴스.
드라이아이스를 제조·판매하는 6개 회사는 2007년 5월∼2019년 6월 아이스크림 제조사인 롯데제과, 롯데푸드, 빙그레, 해태제과식품 등을 대상으로 납품가격을 담합했다가 적발됐다. 연합뉴스.

드라이아이스를 제조·판매하는 6개 회사가 12년간 가격을 담합했다가 공정거래위원회에 덜미가 잡혔다.

공정위는 19일 “6개 드라이아이스 회사가 2007년 5월∼2019년 6월까지 아이스크림 회사에 판매하는 드라이아이스 단가를 함께 올리기로 합의했고, 각 회사 제품을 구매해주며 미리 정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담합에 가담한 회사는 동광화학, 선도화학, 덕양화학(현 어프로티움), 한유케미칼(현 에스케이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창신화학, 태경케미컬 등 6곳이다. 이들 기업의 국내 드라이아이스 시장 합산 점유율은 100%다.

6개 회사는 마치 1개 사업자처럼 가격을 동일하게 변동했다. 다섯 번의 가격 인상 합의를 통해 2007년 1㎏당 310원이던 드라이아이스 납품가는 2019년 580원으로 약 87% 올랐다.

또 이들은 미리 정해둔 각 회사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미리 정한 점유율보다 더 많이 판매한 사업자가 더 적게 판매한 사업자의 제품을 구매해줬다. 점유율 담합이 유지된 2007년 5월∼2015년 12개월 간 각 회사의 점유율 변동은 4%포인트 이내에 머물렀다.

드라이아이스 시장은 크게 택배 배송, 아이스크림 유통, 기타 보냉 목적 등으로 분류된다. 6개 회사는 롯데제과, 롯데푸드, 빙그레, 해태제과식품 등 거대 납품처가 존재하는 아이스크림 유통 부문에서 가격을 담합했고, 전체 시장을 대상으로 점유율 유지를 합의했다.

매출 규모가 가장 큰 태경케미컬이 과징금 15억원을 부과받았다. 창신화학 9억2천만원, 선도화학 8억8500만원, 덕양화학 6억8500만원 등 순으로 과징금이 부과됐다.

공정위는 “냉동식품 및 신선식품 등의 배송을 위해 자주 쓰이는 드라이아이스 판매시장 담합을 최초로 적발·제재한 사례”라며 “100% 점유율을 차지하는 6개 회사 담합으로 가격 및 물량 경쟁이 사실상 차단됐다”고 말했다.

안태호 기자 admin@admin.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SK하이닉스 박정호 부회장 퇴임… HBM 전담 조직 신설 1.

SK하이닉스 박정호 부회장 퇴임… HBM 전담 조직 신설

금감원이 웬 민사소송 지원?…윤 대통령 한마디에 ‘무리수’ 2.

금감원이 웬 민사소송 지원?…윤 대통령 한마디에 ‘무리수’

재벌 총수들 세워놓고 떡볶이 시식…“대통령의 정치쇼” [현장에서] 3.

재벌 총수들 세워놓고 떡볶이 시식…“대통령의 정치쇼” [현장에서]

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23만대, 왜 리콜 아니고 무상 수리? 4.

현대차·기아 하이브리드 23만대, 왜 리콜 아니고 무상 수리?

현대차, 미 국무부 출신 성 김 전 대사 영입…“은퇴 뒤 1월 합류” 5.

현대차, 미 국무부 출신 성 김 전 대사 영입…“은퇴 뒤 1월 합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